애플이 자랑하는 아이폰의 레티나(망막)디스플레이가 아니다. 실제로 맹인에게 앞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안경이 등장해 화제다. 아주 정확하게 볼 수는 없지만 흐릿하게나마 사람을 분간할 수 있고 어둠속에서 누군가가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잇는 수준이다. 물론 외과적 시술이 동반된다.
비용도 꽤 든다. 이 수준으로 볼 수 있는데만도 10만달러, 우리돈으로 1억2천만원 가량이 든다.
씨넷과 CBS는 9일(현지시간) 빛의 충격을 망막 뒷쪽의 전자전극과 연계해 빛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안경이 미 뉴욕장로병원에서 실제로 환자에게 적용돼 부분적이나마 '빛을 볼 수 있도록' 해주었다고 보도했다.
■빛 충격을 망막시신경 대체 전극과 연결해 기적 일구다
이 기적의 안경을 이용하는 방법은 맹인이 된 사람의 안구 뒷쪽에 있는 손상된 망막에 미세한 60개의 전극을 심어서 이를 빛의 충격과 연계해 뇌신경으로 보내는 방식이다.
씨넷은 맹인에게 시력을 찾아주는 이 기적의 안경은 이미 유럽에서 공식적의 의료기기로서의 승인을 받았다고 보도했다. CBS뉴스 의료전문 특파원 존 라푹박사는 유럽에 이어 미식품의약국(FDA)이 조만간 미국에서도 이 기적의 안경에 대한 승인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.
실제로 미 뉴욕장로교병원에 다니는 바바라 캠벨은 20년 전 망막 병변으로 시력을 잃었지만 그녀에게 세상은 이제 이전보다 세상이 훨씬 더 밝아졌다. 이는 그녀가 2년전 인공 망막을 얻게 된 최초의 환자들 가운데 하나가 된 덕분이다.
|
■카메라와 이미지의 빛 충격이 망막통해 시신경으로
새로운 망막 대체 기기가 등장했다고 해서 바바라가 자신의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된 것은 아니다.
하지만 이 기적의 안경에 설치된 작은 카메라와 이미지가 빛의 충격으로 변환돼 안경주변의 전송기로 보내진다.
|
|
|
|
|
|
■흐릿하지만...사물 분간할 수 있게됐다
그러나 20년간 시력을 잃고 살아온 바바라는 “다시는 볼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사물의 모습을 보여주는 흐릿한 이미지에도 감사하고 있다"고 말하고 있다.
바바라는 “나는 수년간 내 집에서 불이 켜져 있는 것, 그리고 냉장고의 불빛을 못 봐 왔다”면서 “복도의 불빛, 내 빌딩의 건물...그런 모든 것이 놀랍다”고 말했다. 더 많은 사람들이 조만간 이 기적의 안경을 접할 수 있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. 씨넷과 CBS뉴스에 따르면 올 연말께 美식품의약국(FDA)이 미국내에서 이 기적의 안경판매를 승인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. 가격은 10만달러(1억1천180만원)으로서 부분적으로나마 시력을 찾는데 드는 비용도 결코 만만치는 않다.